고사리
고사리 학명 : Pteridum aquilinum var. latiusculum (Desv.) Underw 정의/성상/개황 고사리(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Underw)는 대표적인 묵나물 중의 하나로서 봄철에 연한 새싹을 수확하여 먹기도 하지만 건조시켜 저장하였다가 먹는 경우가 많다. 특히 정월 대보름을 전후한 시기에 소비량이 많다. ...
학명 : Cirsium setidens (Dunn) Nakai
고려엉겅퀴(곤드레, Cirsium setidens)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초로서 전국 들판에 자생하며 한국,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뿐만 아니라 지중해 연안, 북미 남서부등 북반구의 온대부터 한대까지 널리 분포한다. 어린잎과 줄기를 식용으로 하는데 데쳐서 우려내어 건나물, 국거리, 볶음용으로 이용하며 무기성분, 비타민 등 각종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어 보기보다 맛이 좋으며 빈궁기에는 구황식물로 이용되기도 한 유용한 산채이다.
구멍이, 도깨비방망이, 고려가시나물. 곤드레나물이라고도 불린다.
전국 들판에 자생하며 한국,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뿐만 아니라 지중해 연안, 북미 남서부등 북반구의 온대부터 한대까지 널리 분포한다.
줄기 잎은 어긋나기하며 중앙부의 잎은 엽병이 있고 달걀모양 또는 타원상 피침형이며 끝이 대개 뾰족하고 밑 부분이 절저 또는 넓은 예저이며 길이 15~35cm로서 표면은 녹색으로 털이 약간 있다. 뒷면은 흰빛이 돌고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가시 같은 톱니가 있다. 윗부분의 잎은 작고 긴 타원상 피침형, 피침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며 끝이 대개 뾰족하고 엽병이 짧으며 가장자리에 바늘 같은 톱니가 있다. 수과는 긴 타원형으로서 길이 3.5~4mm이고 관모는 길이 11~16mm로서 갈색이다.
꽃은 7~10월에 피고 지름 3~4cm인 자주색 머리모양꽃차례가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위를 향해 1개씩 달린다. 총포는 구상 종형이고 길이 20mm, 나비 20~30mm로서 거미줄 같은 털이 밀생하며 포편은 7줄로 배열되고 끝이 뾰족하며 뒷면에 점질이 있다. 꽃부리는 자주색이고 길이 15~19mm이다.
국화과(Compositae) 엉겅퀴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다년초)로 자생종이며, 특산식물이다.
고려엉겅퀴는 대개 2~3년 정도 지나면 뿌리가 썩어 죽게 되고 종자가 떨어져 자라게 된다. 초장이 50~100cm정도이며 1년생의 경우는 분지가 1~3개 정도이나 2~3년생의 경우에는 8~11개 정도로 발생한다. 7~8월 꽃이 필 때는 근생엽과 밑 부분의 잎은 말라죽는다.
다른 엉겅퀴류는 식용 뿐 만 아니라 약용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고려엉겅퀴는 식용으로만 이용되고 있다. 어린잎(어린순)과 줄기를 데쳐서 우려내어 건나물, 국거리 볶음용으로 식용하며, 과거 구황식물로 이용되기도 한 유용한 산채이다.
소화용이, 성인병예방, 이뇨, 해독, 소염, 지혈 작용을 한다. 또한 폐렴이나 폐농양, 고혈압 예방에도 응용된다. 특히, 곤드레(고려엉겅퀴)잎의 생즙은 신경통과 관절염에 좋으며 이밖에 감기, 백일해, 장염, 신장염, 부종 치료에도 쓰인다.
고사리 학명 : Pteridum aquilinum var. latiusculum (Desv.) Underw 정의/성상/개황 고사리(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Underw)는 대표적인 묵나물 중의 하나로서 봄철에 연한 새싹을 수확하여 먹기도 하지만 건조시켜 저장하였다가 먹는 경우가 많다. 특히 정월 대보름을 전후한 시기에 소비량이 많다. ...
고비 학명 : Osmunda japonica Thunb 정의/성상/개황 고비는 평안도와 함경도를 제외한 전국의 습한 들판이나 산기슭에 자생하고 있으며, 지리적으로는 동아시아의 온대지역인 평지에서부터 해발 1,000m 이상의 고산지대인 히말라야에까지 널리 분포하고 있는 고비과의 양치식물로 다년생 초본이다. ...
삽주 학명 : Atractylodes ovata (Thunb.) DC. 정의/성상/개황 삽주는 우리나라 각처 산지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물 빠짐이 좋은 양지나 풀숲에서 자란다. 키는 30~100㎝ 정도이고, 잎은 길이가 8~11㎝로 표면에 광택이 나고 잎자루는 길이가 3~8㎝이며, 뒷면은 흰빛이 돌고 가장자리에 ...
더덕 학명 : Codonopsis lanceolata (Siebold & Zucc.) Trautv. 정의/성상/개황 사삼(沙蔘), 백삼이라고도 하는 더덕(Codonopsis lanceolata (Siebold & Zucc.) Trautv.)은 초롱꽃과(Campanutaceas)에 속하며, 길이가 2m 이상 자라는 다년생 덩굴식물이다. 일번, 만주, 중국 및 우리나라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특유의 향이...
어수리 학명 : Heracleum moellendorffii Hance 정의/성상/개황 어수리는 일본, 만주, 중국에 분포하며 제주, 전남(무등산), 전북(덕유산, 백양산), 충남(계룡산), 강원(치악산, 오대산), 경기(광릉), 황해, 평남, 평북, 함남, 함북에 야생한다.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있으며 크고 우상이며 3~5개의 ...
약모밀 학명 : Houttuynia cordata Thunb 정의/성상/개황 쌍떡잎식물 후추목 삼백초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분포 한국(울릉도·안면도·거제도)·일본·중국·히말라야·자바에 분포한다. 형태/구조 땅속줄기가 옆으로 길게 벋고 가늘며 흰색이다.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20∼50cm이며, 몇 ...
들메나무순 학명 : Fraxinus mandshurica Rupr 정의/성상/개황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용담목 물푸레나무과의 낙엽교목으로 깊은 산 골짜기에서 분포하며 봄에 부드러운 새순을 채취하여 삶아 두었다가 나물로 무쳐먹는 경우가 많다. 종류 물푸레나무과의 들메나무, 물푸레나무과의 물들메나무...
참나물 학명 : Piminella brachycarpa (KOM.) NAKI 정의/성상/개황 참나물은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산형화목 산형과에 속하는 다년생 숙근초 로서 반디나물, 거린 당이, 머내지라는 별명을 갖고 있으며 지리적으로는 일본, 중국 유럽 한국 등에 분포한다. 특히 한국 전국각처에 자생하고 있다.잎은 어긋...
죽순 학명 : Pseudosasa japonica (Siebold & Zucc. ex Steud.) Ma 정의/성상/개황 죽순은 대나무의 땅속 줄기에서 돋아나는 여리고 연한 싹을 말한다.성장한 대나무에서 볼 수 있는 형질을 다 갖추고 있다. 아직 자라지 않은 마디 사이와 그것을 가로지르는 마디가 교대로 빽빽하게 늘어서 있다. 마디에는...
취나물 학명 : Aster scaber Thunb 정의/성상/개황 참취는 다년생 숙근초로 전국각지에 야생하며 일본 북해도, 시코쿠, 큐슈, 만주,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또한 참취는 털이 있는 계통과 없는 계통이 있다.곰취는 다년생 식물로 뿌리 부분에서 발생된 잎이 발달하는 산채류 중에서 드물게 날것으로 ...
긴강남차 학명 : Cassia tora Linne 정의/성상/개황 결명자는 1년생 초본 약용식물로 줄기는 곧게 서며 50~150cm정도로 자란다. 원줄기에서 4~15개의 가지가 나오고 가지에서도 다시 가지가 발생한다. 원줄기의 굵기는 직경 1.5cm까지 자라며 표면은 녹색이다. 길이로 4줄의 무늬가 있는데 잘라보면 속살...
원추리 학명 : Hemerocallis fulva (L.) L. 정의/성상/개황 원추리는 한국, 중국, 일본 특히 우리나라 전국 각지 산야에 분포하는 우리나라 각처의 산지 계곡이나 산기슭에서 자라는 백합과의 다년생 초본이다. 키는 50~100㎝이고, 잎은 길이가 60~80㎝, 폭이 1.2~2.5㎝로 밑에서 2줄로 마주나고 선형이며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