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순
죽순 학명 : Pseudosasa japonica (Siebold & Zucc. ex Steud.) Ma 정의/성상/개황 죽순은 대나무의 땅속 줄기에서 돋아나는 여리고 연한 싹을 말한다.성장한 대나무에서 볼 수 있는 형질을 다 갖추고 있다. 아직 자라지 않은 마디 사이와 그것을 가로지르는 마디가 교대로 빽빽하게 늘어서 있다. 마디에는...
학명 : Codonopsis lanceolata (Siebold & Zucc.) Trautv.
사삼(沙蔘), 백삼이라고도 하는 더덕(Codonopsis lanceolata (Siebold & Zucc.) Trautv.)은 초롱꽃과(Campanutaceas)에 속하며, 길이가 2m 이상 자라는 다년생 덩굴식물이다. 일번, 만주, 중국 및 우리나라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특유의 향이 있어 지나가다가 발견하기 쉬운 특징이 있다. 어린잎을 삶아 나물로 먹기도 하나, 일반적으로 부드럽고 맛이 좋은 뿌리를 더덕구이, 더덕생채, 더덕장아찌, 더덕주 등으로 많이 이용하며, 약용으로 쓰는 경우도 있다.
유사종으로는 푸른더덕, 소경불알, 애기더덕, 만삼 등이 있다.
가. 푸른 더덕[민더덕]
민더덕이라고도 불리는 푸른더덕(Codonopsis lanceolata f. emaculata (Honda) H. Hara, ミドリツルニンジン)은 초롱꽃과(Campanulaceae)에 속하는 다년생 덩굴식물로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더덕과 달리 꽃부리 안쪽에 갈 자색 반점이 없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짧은 가지 끝에서는 4개의 잎이 서로 접근하여 마주나기 하므로 모여 달린 것 같고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양끝이 좁고 길이 3~10cm, 나비 1.5~4cm로서 털이 없으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분백색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8~9월에 피고 짧은 가지 끝에 밑을 향해 달리며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난상 긴 타원형이며 길이 2~2.5cm, 길이 6~10mm로서 끝이 뾰족하고 녹색이다. 꽃부리는 길이 2.7~3.5cm로서 끝이 5개로 갈라져 뒤로 약간 말리며 겉은 연한 녹색이다. 더덕과 달리 화관 안쪽에 갈자색 반점이 없다. 줄기는 덩굴성으로 2m정도 자라며 보통 털이 없고 자르면 유액이 나오며, 뿌리는 도라지처럼 굵다.
나. 소경불알
소경불알더덕, 알더덕, 만삼아재비라고도 불리는 소경불알(Codonopsis ussuriensis (Rupr. & Maxim.) Hemsl., バアソブ, Ussuri Asiabell)은 초롱꽃과(Campanulaceae)에 속하는 덩굴성의 여러해살이풀로 얼핏 보기에는 만삼같지만 뿌리가 길지 않다. 이 뿌리를 식용한다. 우리나라 전국 산지의 낮은 곳, 특히 습기가 충분하고 햇빛이 잘 드는 곳에서 자라기 때문에 뿌리가 길어지지 않고 둥글게 자란다. 즉, 토양을 비롯한 환경조건에 적응하면서 지하부의 형태가 적절히 진화했다고 생각된다.
특별히 번식을 하지 않아도 재배지에서 모주의 밑에는 어린 자연 발생 묘가 많이 자라므로 이식하면 쉽게 증식이 가능하나, 실생번식을 위해서는 11월경에 채취한 종자를 곧바로 습기가 충분한 파종상에 뿌린다. 이 때, 미립종자이므로 취급과 파종에 유의해야 한다. 토양은 물 빠짐이 좋고 보습성이 충분한 사질양토에 부엽을 충분히 섞어 재배한다. 어느 정도의 척박지에서도 적응이 가능하나 건조에는 약하다.
소경불알은 관상가치가 높기 때문에 다양한 식재장소에 덩굴성 소재로 이용하거나 화분에 심어 지주로 유인해 주기도 한다.
잎은 어긋나기하나 측지에서는 4개의 잎이 마주나기 한 것 같이 보이며 달걀모양 또는 난상타원형이고 양끝이 좁다. 짧은 엽병과 더불어 길이 2~4.5cm, 나비 1.2~2.5cm로서 양면, 특히 뒷면에 백색 털이 많고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분백색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열매는 삭과이고 원뿔모양이다. 꽃은 7~9월에 피며 자주색이고 짧은 가지 끝에 달리며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길이 1~1.5cm, 나비 4~6mm로서 녹색이다. 꽃부리는 종형이며 끝이 5개로 갈라져서 약간 뒤로 말리고 길이 2~2.5cm로서 안쪽은 짙은 자주색이며 겉은 윗부분이 더욱 짙은 자주색이고 밑 부분은 연한색이다. 뿌리는 전체에 털이 있고 덩이뿌리 끝이 가늘어지지 않아 둥근 모양이다.
유사종으로는 같은 Codonopopsis속 식물인 만삼(C. pilosula)이 있다.
다. 애기더덕
섬더덕, 애기소경불알이라고도 하는 애기더덕(Codonopsis minima Nakai)은 초롱꽃과(Campanulaceae)에 속하는 다년초로 일본, 중국 및 한국(제주도)에 분포한다. 자생지가 1~2곳으로 개체수가 매우 적어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 내외 보전이 필요한 특산식물, 멸종위기종이다. 전체가 소형이고 털이 많으며 떨어지지 않는다.
라. 만삼
만삼(Codonopsis pilosula (Franch.) Nannf., ヒカゲツルニンジン, Tangshen, Pilose Asia-bell)은 초롱꽃과(Campanulaceae)에 속하는 다년생 덩굴성 초본이자 취약종으로 중국, 한국에 분포한다. 특히, 덕유산 북쪽에 분포하는 종으로 백두대간 상에 좁게 분포한다. 최근 식용으로 채취가 심해 자생지가 급격히 감소되고 있으므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내외 보전 대상이다. 줄기와 잎에 털이 있고, 더덕보다 연하다.
본래 깊은 산속의 그늘지고 습한 곳(심산지역)에 자생하는 식물이므로 그늘로서 냉량하고 습도가 높은 곳이 생육에 가장 적당하다. 토질은 부식질이 많이 함유된 모래참흙이 좋다. 씨앗 또는 묘두로 번식하나 흔히 산간 자연 생에서 묘두를 캐서 옮겨 심은 후 씨앗을 채취해서 재배용으로 사용한다. 파종 시기는 가을에는 10~11월경, 봄에는 3월 상·중순경이 적당하다. 9월, 10월에 결실한다.
식용하거나 약용한다. 만삼의 뿌리는 補中(보중), 益氣(익기), 生津液(생진액)의 효능이 있으므로 가을에 지상부분을 제거하고 흙을 깨끗이 씻어서 햇볕에 말렸다가 달이거나, 바짝 졸여서 膏劑(고제)로 하던가.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해서 복용한다.
잎은 어긋나기 하지만 짧은 가지에서는 마주나기하고 달걀모양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둔두 원저이다. 길이 1~5cm, 나비 1~3.5cm로서 양면에 잔털이 있으며 특히 맥 위에 많고 표면은 녹색, 뒷면은 분백색이며 가장자리가 보통 밋밋하고 엽병은 길이 2~3cm로서 털이 있다. 삭과는 편원뿔모양이며 꽃받침이 숙존 하고 9~10월에 익어 끝이 3쪽으로 터져 종자를 쏟아낸다. 종자는 작고 많은데 길고 둥글며 날개가 없는 갈색으로 광택은 없다. 꽃은 7~8월에 피며 측지 끝에 1개씩 달리고 그 밑의 잎겨드랑이에서도 계속 피며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털이 없으며 길이 15mm, 나비 5mm로서 피침형이다. 꽃부리는 종형이며 자주색이고 길이 2.5cm, 지름 1.5cm로서 끝이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삼각형이고 길이 5mm이다. 덩굴줄기는 다른 물체에 감아 오른다. 전체에 털이 있고 자르면 유액이 나온다. 땅속줄기는 곤봉 모양이다. 뿌리는 원주형으로 길이 20~30cm, 지름 0.5~2(10)cm이며 겉이 황갈색을 띤다.
<그림> 만삼의 꽃
일본, 만주, 중국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의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특히, 우수리에 자생한다.
아랫부분의 잎은 어긋나기하며 짧은 가지 끝에서는 4개의 잎이 서로 접근하여 마주나기 하므로 모여 달린다.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양끝이 좁고 길이 3~10cm, 나비 1.5~4cm로서 털이 없으며 표면은 녹색, 뒷면은 분백색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열매는 삭과로서 원뿔모양이다. 옅은 녹황색의 꽃은 8~9월에 윗머리의 엽액에서 피고 짧은 가지 끝에 밑을 향해 달리며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난상 긴 타원형이며 길이 2~2.5cm, 나비 6~10mm로서 끝이 뾰족하고 녹색이다. 꽃부리는 길이 2.7~3.5cm로서 끝이 5개로 갈라져 뒤로 약간 말리며 겉은 연한 녹색이고 안쪽에 갈자색 반점이 있다. 씨방은 하위이며 암술머리는 3~5갈래로 갈라진다. 덩굴은 길이 2m로서 보통 털이 없고 자르면 우윳빛 유액(乳液)이 나온다. 덩굴줄기는 담녹색이며 시계방향으로 감아 올라간다. 덩이뿌리는 비대하며 방추형이다.
초롱꽃과(Campanutaceas)에 속하는 다년생 덩굴식물이다.
더덕 뿌리에는 칼슘, 철분, 비타민 등 여러가지 유용한 성분이 많이 들어 있어 더덕구이, 생 무침, 정과, 찜, 장아찌, 누름적, 자반, 김치,
더덕술 등으로 이용된다.
한약에서는 최유(崔乳), 해독(解讀)에 쓰이고 건강식 채소로 그 수요가 늘고 있다. 특히 더덕을 손질할 때 나오는
끈끈한 유액은 인삼에 함유된 것과 같은 사포닌 성분으로 건위, 강장제, 거담제, 기관지염, 해열, 해독에 쓰인다.
사포닌, 이눌린, 펜토산 등이 함유되어 있어 혈압 강하와 지질함량을 낮추는 건강식품으로도 알려져 있다.
죽순 학명 : Pseudosasa japonica (Siebold & Zucc. ex Steud.) Ma 정의/성상/개황 죽순은 대나무의 땅속 줄기에서 돋아나는 여리고 연한 싹을 말한다.성장한 대나무에서 볼 수 있는 형질을 다 갖추고 있다. 아직 자라지 않은 마디 사이와 그것을 가로지르는 마디가 교대로 빽빽하게 늘어서 있다. 마디에는...
원추리 학명 : Hemerocallis fulva (L.) L. 정의/성상/개황 원추리는 한국, 중국, 일본 특히 우리나라 전국 각지 산야에 분포하는 우리나라 각처의 산지 계곡이나 산기슭에서 자라는 백합과의 다년생 초본이다. 키는 50~100㎝이고, 잎은 길이가 60~80㎝, 폭이 1.2~2.5㎝로 밑에서 2줄로 마주나고 선형이며 끝...
약모밀 학명 : Houttuynia cordata Thunb 정의/성상/개황 쌍떡잎식물 후추목 삼백초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분포 한국(울릉도·안면도·거제도)·일본·중국·히말라야·자바에 분포한다. 형태/구조 땅속줄기가 옆으로 길게 벋고 가늘며 흰색이다.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20∼50cm이며, 몇 ...
삽주 학명 : Atractylodes ovata (Thunb.) DC. 정의/성상/개황 삽주는 우리나라 각처 산지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물 빠짐이 좋은 양지나 풀숲에서 자란다. 키는 30~100㎝ 정도이고, 잎은 길이가 8~11㎝로 표면에 광택이 나고 잎자루는 길이가 3~8㎝이며, 뒷면은 흰빛이 돌고 가장자리에 ...
고려엉겅퀴 학명 : Cirsium setidens (Dunn) Nakai 정의/성상/개황 고려엉겅퀴(곤드레, Cirsium setidens)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초로서 전국 들판에 자생하며 한국,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뿐만 아니라 지중해 연안, 북미 남서부등 북반구의 온대부터 한대까지 널리 분포한다. 어린잎과 줄기를 식용으로 ...
긴강남차 학명 : Cassia tora Linne 정의/성상/개황 결명자는 1년생 초본 약용식물로 줄기는 곧게 서며 50~150cm정도로 자란다. 원줄기에서 4~15개의 가지가 나오고 가지에서도 다시 가지가 발생한다. 원줄기의 굵기는 직경 1.5cm까지 자라며 표면은 녹색이다. 길이로 4줄의 무늬가 있는데 잘라보면 속살...
고사리 학명 : Pteridum aquilinum var. latiusculum (Desv.) Underw 정의/성상/개황 고사리(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Underw)는 대표적인 묵나물 중의 하나로서 봄철에 연한 새싹을 수확하여 먹기도 하지만 건조시켜 저장하였다가 먹는 경우가 많다. 특히 정월 대보름을 전후한 시기에 소비량이 많다. ...
들메나무순 학명 : Fraxinus mandshurica Rupr 정의/성상/개황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용담목 물푸레나무과의 낙엽교목으로 깊은 산 골짜기에서 분포하며 봄에 부드러운 새순을 채취하여 삶아 두었다가 나물로 무쳐먹는 경우가 많다. 종류 물푸레나무과의 들메나무, 물푸레나무과의 물들메나무...
천궁 학명 : Cnidium officinale Makino 정의/성상/개황 천궁이란 중국 쓰촨성의 "궁궁"이라는 뜻으로 대한약전에서 기원식물로 규정한 천궁(일천궁, Cnidium officinale)과 중국원산인 토천궁(Ligusticum chuanxiong)이 있다. 근경은 낱개로 되어 있는 토천궁과 달리 여러 개의 근경이 덩어리진다. 정식 1년차에는...
고비 학명 : Osmunda japonica Thunb 정의/성상/개황 고비는 평안도와 함경도를 제외한 전국의 습한 들판이나 산기슭에 자생하고 있으며, 지리적으로는 동아시아의 온대지역인 평지에서부터 해발 1,000m 이상의 고산지대인 히말라야에까지 널리 분포하고 있는 고비과의 양치식물로 다년생 초본이다. ...
어수리 학명 : Heracleum moellendorffii Hance 정의/성상/개황 어수리는 일본, 만주, 중국에 분포하며 제주, 전남(무등산), 전북(덕유산, 백양산), 충남(계룡산), 강원(치악산, 오대산), 경기(광릉), 황해, 평남, 평북, 함남, 함북에 야생한다.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있으며 크고 우상이며 3~5개의 ...
참나물 학명 : Piminella brachycarpa (KOM.) NAKI 정의/성상/개황 참나물은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산형화목 산형과에 속하는 다년생 숙근초 로서 반디나물, 거린 당이, 머내지라는 별명을 갖고 있으며 지리적으로는 일본, 중국 유럽 한국 등에 분포한다. 특히 한국 전국각처에 자생하고 있다.잎은 어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