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풍 [ 防風 ]

약초이야기
2023.09.26 12:40

방풍[ 防風 ] - 자연스러운 약초의 효능 안녕하세요,

 

이웃 여러분! 오늘은 약초 중 방풍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방풍의 학명, 생약명, 이용 부위, 민간요법, 채취 시기, 그리고 효능과 쓰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방풍의 학명과 생약명

 

방풍의 학명은 'Ledebouriella seseloides WOLFF.'입니다. 이 약초는 생물학적 분류로 계는 식물계 과는 산형과입니다.

용도는 식용 및 약용입니다.

 

 

2. 방풍의 특징

 

1) 형태

 

3년생 초본으로 높이가 60~100cm이고 줄기직경 1.5cm로 굵고 담녹색을 보입니다.

ㆍ 자주색의 세로 줄무늬가 있고 가지가 많고 전체에 털이 업습니다.

ㆍ 잎 표면은 짙은 녹색, 뒷면은 녹색을 띠며 육질이 두껍고 광택이 있습니다.

ㆍ 6~7월에 가지와 줄기 끝의 꽃자루가 우산 모양으로 갈라져 산경을 이루고, 이 산경 위에 다시 20~30개의 작은 꽃자루가 갈라져 소산경(小散莖: 어린 가지들이 흩어져 있는 모습)을 개화한다.

ㆍ 긴 둥근꼴의 열매는 흑갈색으로 안에 종자가 천 알 정도 들어 있는데 무게가 4g 정도이다.

 

 

3. 방풍의 이용 부위





 

방풍의 이용 부위는 주로 뿌리입니다.

 

봄과 가을에 파내는데 뿌리 꼭지 위의 갈색 섬유질로 된 털을 제거하고 깨끗이 씻은 후 수분이 스며들게 한 다음 잘라서 햇볕에 말려 약으로 사용한다.

 

 

4. 민간 요법

 

 

1) 약효

 

발한, 해열, 진통, 이뇨, 중풍, 사지마비, 진해, 거담, 치통, 신경통, 류머티즘, 통풍, 산후풍, 요통 등을 치료한다. 항균작용 및 바이러스의 억제작용도 약리학적으로 밝혀졌습니다.

 

2) 용법

 

뿌리 10g에 물 700ml를 넣고 중불에서 반으로 달인 액을 나누어 조석으로 식간에 병세가 호전될 때까지 복용하고 외용에는 가루를 내어 환부에 바르면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방풍에 대한 정보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약간 그늘지고 수분이 있는 자리에서 웬만한 흙에서 잘 자라 나는 방풍은 건강 유지와 영양 보충에 도움이 되는 약초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또 다른 약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방풍
약초
건강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

All posts
약초이야기 2024.09.13

참나물

참나물 학명 : Piminella brachycarpa (KOM.) NAKI     정의/성상/개황 참나물은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산형화목 산형과에 속하는 다년생 숙근초 로서 반디나물, 거린 당이, 머내지라는 별명을 갖고 있으며 지리적으로는 일본, 중국 유럽 한국 등에 분포한다. 특히 한국 전국각처에 자생하고 있다.잎은 어긋...

약초이야기 2024.10.25

들메나무순

들메나무순 학명 : Fraxinus mandshurica Rupr     정의/성상/개황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용담목 물푸레나무과의 낙엽교목으로 깊은 산 골짜기에서 분포하며 봄에 부드러운 새순을 채취하여 삶아 두었다가 나물로 무쳐먹는 경우가 많다.   종류 물푸레나무과의 들메나무, 물푸레나무과의 물들메나무...

약초이야기 2024.08.20

고려엉겅퀴

고려엉겅퀴 학명 : Cirsium setidens (Dunn) Nakai     정의/성상/개황 고려엉겅퀴(곤드레, Cirsium setidens)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초로서 전국 들판에 자생하며 한국,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뿐만 아니라 지중해 연안, 북미 남서부등 북반구의 온대부터 한대까지 널리 분포한다. 어린잎과 줄기를 식용으로 ...

약초이야기 2024.08.22

고비

고비 학명 : Osmunda japonica Thunb     정의/성상/개황 고비는 평안도와 함경도를 제외한 전국의 습한 들판이나 산기슭에 자생하고 있으며, 지리적으로는 동아시아의 온대지역인 평지에서부터 해발 1,000m 이상의 고산지대인 히말라야에까지 널리 분포하고 있는 고비과의 양치식물로 다년생 초본이다. ...

약초이야기 2024.10.24

어수리

어수리 학명 : Heracleum moellendorffii Hance     정의/성상/개황 어수리는 일본, 만주, 중국에 분포하며 제주, 전남(무등산), 전북(덕유산, 백양산), 충남(계룡산), 강원(치악산, 오대산), 경기(광릉), 황해, 평남, 평북, 함남, 함북에 야생한다.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있으며 크고 우상이며 3~5개의 ...

약초이야기 2025.01.07

천궁

천궁 학명 : Cnidium officinale Makino     정의/성상/개황 천궁이란 중국 쓰촨성의 "궁궁"이라는 뜻으로 대한약전에서 기원식물로 규정한 천궁(일천궁, Cnidium officinale)과 중국원산인 토천궁(Ligusticum chuanxiong)이 있다. 근경은 낱개로 되어 있는 토천궁과 달리 여러 개의 근경이 덩어리진다. 정식 1년차에는...

약초이야기 2024.09.16

죽순

죽순 학명 : Pseudosasa japonica (Siebold & Zucc. ex Steud.) Ma     정의/성상/개황 죽순은 대나무의 땅속 줄기에서 돋아나는 여리고 연한 싹을 말한다.성장한 대나무에서 볼 수 있는 형질을 다 갖추고 있다. 아직 자라지 않은 마디 사이와 그것을 가로지르는 마디가 교대로 빽빽하게 늘어서 있다. 마디에는...

약초이야기 2024.09.04

취나물

취나물 학명 : Aster scaber Thunb     정의/성상/개황 참취는 다년생 숙근초로 전국각지에 야생하며 일본 북해도, 시코쿠, 큐슈, 만주,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또한 참취는 털이 있는 계통과 없는 계통이 있다.곰취는 다년생 식물로 뿌리 부분에서 발생된 잎이 발달하는 산채류 중에서 드물게 날것으로 ...

약초이야기 2024.11.14

약모밀

약모밀 학명 : Houttuynia cordata Thunb     정의/성상/개황 쌍떡잎식물 후추목 삼백초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분포 한국(울릉도·안면도·거제도)·일본·중국·히말라야·자바에 분포한다.   형태/구조 땅속줄기가 옆으로 길게 벋고 가늘며 흰색이다.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20∼50cm이며, 몇 ...

약초이야기 2024.08.14

더덕

더덕 학명 : Codonopsis lanceolata (Siebold & Zucc.) Trautv.     정의/성상/개황 사삼(沙蔘), 백삼이라고도 하는 더덕(Codonopsis lanceolata (Siebold & Zucc.) Trautv.)은 초롱꽃과(Campanutaceas)에 속하며, 길이가 2m 이상 자라는 다년생 덩굴식물이다. 일번, 만주, 중국 및 우리나라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특유의 향이...

약초이야기 2024.09.05

원추리

원추리 학명 : Hemerocallis fulva (L.) L.     정의/성상/개황 원추리는 한국, 중국, 일본 특히 우리나라 전국 각지 산야에 분포하는 우리나라 각처의 산지 계곡이나 산기슭에서 자라는 백합과의 다년생 초본이다. 키는 50~100㎝이고, 잎은 길이가 60~80㎝, 폭이 1.2~2.5㎝로 밑에서 2줄로 마주나고 선형이며 끝...

약초이야기 2025.02.05

긴강남차

긴강남차 학명 : Cassia tora Linne     정의/성상/개황 결명자는 1년생 초본 약용식물로 줄기는 곧게 서며 50~150cm정도로 자란다. 원줄기에서 4~15개의 가지가 나오고 가지에서도 다시 가지가 발생한다. 원줄기의 굵기는 직경 1.5cm까지 자라며 표면은 녹색이다. 길이로 4줄의 무늬가 있는데 잘라보면 속살...

Top